양귀자의 『모순』 - 책 소개
삶의 이중성과 감정의 진폭을 담다 — 양귀자의 『모순』
삶은 언제나 단순하지 않다. 어떤 감정도, 어떤 선택도 일직선으로 흘러가지 않는다. 양귀자의 장편소설 모순은 그런 삶의 복잡성과 내면의 이중성을 섬세하게 풀어낸 작품이다. 제목부터가 말해주듯, 이 소설은 '모순'이라는 단어가 담고 있는 삶의 역설과 아이러니를 정면으로 마주한다.
'평범한' 인물, '비범한' 통찰
이야기의 중심에는 대학생 ‘안진진’이 있다. 그녀는 평범한 20대처럼 보이지만, 가족, 사랑, 인간관계 속에서 끊임없이 자신을 성찰하며 ‘나는 누구인가’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그녀의 시선은 때로는 냉소적이고, 때로는 따뜻하다. 진진의 말투는 솔직하고 거침없지만, 그 이면에는 세상과의 거리두기와 상처에 대한 두려움이 자리하고 있다.
특히 소설 초반부에 진진이 가족과 주변 인물들에 대해 이야기하는 장면들은 마치 일기처럼 담담하면서도 깊은 울림을 준다. 어머니의 사랑과 집착, 아버지의 무책임함, 언니와의 갈등, 연인과의 애정과 이별… 어느 하나 단순하게 흘러가지 않는다. 이 모든 관계가 진진을 흔들고 성장하게 만든다.
관계의 '모순', 감정의 '진실'
모순은 단순한 성장소설이나 가족소설이 아니다. 이 작품은 인간관계 속에서 마주하게 되는 복잡한 감정의 층위를 보여준다. 사랑하면서도 미워하고, 미워하면서도 그리워하는 감정. 그 사이에서 진진은 점점 자신만의 감정 언어를 만들어간다.
특히 기억에 남는 것은 진진이 연인 ‘송영’과의 관계를 통해 보여주는 감정의 진폭이다. 사랑은 이상화된 감정이 아니라, 불안과 의심, 외로움까지 품는 감정임을 작가는 정직하게 보여준다. 그것이 바로 삶이자, 우리가 겪는 ‘모순’ 그 자체이기 때문이다.
삶을 바라보는 성숙한 시선
양귀자의 글은 언제나 인간에 대한 따뜻한 통찰이 담겨 있다. 모순 역시 예외는 아니다. 화려한 사건이나 반전은 없지만, 소설을 다 읽고 나면 마치 오래된 친구의 이야기를 들은 것처럼 마음 한켠이 묵직해진다. 그리고 자신이 살아온 삶을 돌아보게 된다.
우리는 모두 모순 속에 살아간다. 이성과 감성 사이, 기대와 현실 사이, 사랑과 증오 사이에서. 그런 우리에게 이 책은 말한다. 모순 속에도 진실이 있고, 그 진실을 마주하는 용기가 결국 성숙함이라는 것을.
★ 추천 독자 :
- 인간관계에서 상처를 받았거나 고민 중인 사람
- 자기 자신을 돌아보고 싶은 사람
- 삶의 본질에 대해 성찰해보고 싶은 사람
양귀자의 『모순』은 우리 모두가 안고 사는 삶의 복잡함에 대해, 조용하지만 강력한 목소리로 말을 건다.
지금 이 순간, 당신의 마음속 모순을 마주해보길 권한다.